본문
【에이블뉴스 백민 기자】 광주인화학교 부지를 장애인복합수련시설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농인 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며 농인대학교 설립을 공식 제안했다.
광주광역시 장애인복합수련시설 추진 반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상대책위원회)는 광주인화학교 부지 활용과 관련해 12일 입장문을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광주인화학교는 2006년 발생한 심각한 성폭력 사건을 시작으로 약 7년간 아동·청소년에 대한 반복적인 폭력과 인권침해가 이어져 지역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당시 기숙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며 원활한 소통조차 어려운 환경 속에서 교직원과 상급 학생들로부터 폭행과 학대가 지속됐다. 이러한 범행은 오랜 기간 은폐됐고, 결국 학교는 폐교되었으나 피해 학생들은 현재까지도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현재 해당 부지를 장애인복합수련시설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 부지는 역사적으로 농인 인권침해 사건과 깊이 얽혀 있으며 농인 단체와 피해자들은 이 부지가 농인의 역사·문화적 권리를 보존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남아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광주인화학교 부지를 복합수련시설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들은 광주인화학교 부지를 단순히 장애인복합수련시설로 전환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부지를 ‘농인대학교’로 전환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아울러 “농인대학교는 농인의 권리 회복과 미래 발전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으로 농인 지도자 양성과 전문 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단순한 시설 전환이 아닌 과거 인권침해의 상처를 치유하고 농인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는 실질적 대안이다. 이러한 조치는 지역사회와 농인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정의로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특히 "농인대학교 설립은 단순한 교육기관 설립이 아니라 전문적·체계적 교육을 통한 농인의 지식과 역량 강화, 우수한 인재 배출로 농인의 사회 진출과 취업 기회의 확대 등 기대 효과를 가지며 농인 인권 회복과 사회 통합을 위한 국가적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농인의 인권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끝까지 함께 싸울 것이라며, 광주광역시와 관계 기관에 ▲광주인화학교 부지를 농인대학교로 전환하는 방안 적극 검토 ▲농인 인권과 교육권을 존중하는 정책 결정 ▲과거 인권침해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지키고 피해자들의 목소리 반영할 것 등을 촉구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관련링크
- 이전글“자조모임 넘어” 정신질환자 회복 이끄는 ‘목적의식적 동료지원’ 필요 25.08.14
- 다음글중증장애인 ‘입’ 됐다는 이유로 부정수급, “나는 억울합니다” 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