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 국가인권위원회가 환자를 창틀에 부당하게 강박한 정신의료기관인 A병원을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복지법)’ 등 위반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고 6일 밝혔다.
국가인권위원회. ⓒ에이블뉴스DB
또한 환자들이 병실 바닥 곳곳에 배변이 방치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하는 상황 등에 대해 A병원 이사장을 포함한 전체 치료진에게 인권위 주관 특별인권교육 수강 조치를, 지자체장에게 A병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등을 권고했다.
인권위에 따르면, 진정인은 환자를 창틀에 부당하게 강박했다는 내용, 파손된 화장실 변기를 수리하지 않아 환자들이 병실 바닥에 배변하는 상황을 방치한다는 내용, 피진정병원의 한 병동에 60여 명의 환자들이 알몸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내용 등을 인권위에 진정했다.
인권위는 이 사건 진정을 접수받고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하여 특별 조사팀을 구성해 피진정병원 현장 조사 등 다각도로 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환자 창틀 강박 관련, A병원 치료진은 사건 당일인 2024년 2월 6일 주치의인 원장이 회진을 하면서 피해자를 창문에 묶으라는 강박을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이에 대해 주치의인 원장은 평상시 환자에 대해 강박을 지시할 때는 구체적으로 장소 등을 지정해 지시하지 않기에 창틀에 강박하라고 지시할 수 없다고 부인했다.
병원 이사장은 환자 통제가 힘들고 격리‧강박실 이동과정의 사고 우려 때문에 원장이 부득이하게 강박을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변했다.
인권위가 입수한 사진에 따르면, 피해자가 양팔이 위로 들려 좌우로 벌어진 상태로 병실 창틀에 양 손목이 강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병실 바닥 배변 관련, 현장조사에서 병실 내 변기의 파손된 상태가 확인되었다. A병원은 환자들이 수시로 변기를 파손하며, 정신질환 때문에 병실 바닥에 배변하는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아울러 대다수의 중증 환자들이 알몸으로 생활하고 있었는데, A병원 입원 환자 중 일부는 환자복을 받지 못했다고 진술했으며, 직원들도 환자 복 지급을 요청했음에도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진술했다. 이에 대해 A병원은 환자 중 일부가 정신질환으로 인해 옷을 입지 않은 것이라 답변했다.
이에 인권위는 피진정병원에서 피해자가 격리·강박실이 아닌 병실 내 창틀에 양 손목이 강박된 것과, 해당일의 격리·강박일지 기록이 존재하지 않다는 점은 ‘정신건강복지법’ 위반 및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피진정병원이 관행적으로 격리와 강박 조치를 빈번하게 시행하고, 문제 행동을 하는 환자에 대한 처벌적 조치로서 강박을 시행한 행위는 보건복지부의 ‘격리 및 강박 지침’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병실 바닥 배변 관련해서도 환자들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하게 하고, 깨진 변기 등으로 인해 환자들이 다칠 우려가 있음에도 이를 방치한 것은 장애인 학대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입원 환자들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고 봤다.
이후 A병원은 인권위 조사 이후 병실의 깨진 변기를 교체했다. 이에 인권위는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A병원 전체 치료진에 대해 특별인권교육 수강 권고를 권고하고, 관할 지자체의 장에게 A병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와 직무교육 실시를 권고했다.
한편, A병원의 병상 수는 정신과 폐쇄병동 139병상을 포함한 180병상이며, 피진정병원에는 2024년 기준 총 164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관련링크
- 이전글발달장애 이유로 택시운전원 가입 거부 “장애인 차별” 25.02.12
- 다음글‘중증장애인 병원 간병’ 가족에게 기댈 수밖에 없는 현실 25.02.10